VI 권
명제
닮음 다각형들은 닮음 삼각형들로 쪼갤 수 있으며, 그 삼각형들의 개수는 같으며, 삼각형들의 넓이 비율은 전체 도형의 넓이 비율과 같다. 따라서 다각형들의 넓이 비율은 대응하는 변들의 제곱의 비율이다.
두 다각형 \(\rm ABCDE\)와 \(\rm FGHKL\)은 닮음 도형이고 변 \(\rm AB\)가 변 \(\rm FG\)에 대응한다고 하자. 그러면 두 다각형 \(\rm ABCDE\)와 \(\rm FGHKL\)은 닮음 삼각형들로 나눌 수 있으며, 나누어진 삼각형의 개수는 같으며, 삼각형들의 넓이 비율은 전체 넓이 비율과 같고, (다각형 \(\rm ABCDE\) 넓이)\(:\)(다각형 \(\rm FGHKL\) 넓이)\(=\overline{\rm AB}^2:\overline{\rm FG}^2\)이다.
두 다각형 \(\rm ABCDE\)와 \(\rm FGHKL\)은 닮음 도형이고 변 \(\rm AB\)가 변 \(\rm FG\)에 대응한다고 하자.
그러면 두 다각형 \(\rm ABCDE\)와 \(\rm FGHKL\)은 닮음 삼각형들로 나눌 수 있으며, 나누어진 삼각형의 개수는 같으며, 삼각형들의 넓이 비율은 전체 넓이 비율과 같고, (다각형 \(\rm ABCDE\) 넓이)\(:\)(다각형 \(\rm FGHKL\) 넓이)\(=\overline{\rm AB}^2:\overline{\rm FG}^2\)임을 보이자.
선분 \(\rm BE\), \(\rm CE\), \(\rm GL\), \(\rm HL\)을 그리자.
다각형 \(\rm ABCDE\)와 다각형 \(\rm FGHKL\)은 닮음이므로 \(\rm\angle BAE=\angle GFL\)이며 \(\overline{\rm BA}:\overline{\rm AE}=\overline{\rm GF}:\overline{\rm FL}\)이다. [VI권 정의 1]
두 삼각형 \(\rm ABE\), \(\rm FGL\)은 \(\rm\angle BAE=\angle GFL\)으로 한 각의 크기가 같고, 그 끼인 변들이 \(\overline{\rm BA}:\overline{\rm AE}=\overline{\rm GF}:\overline{\rm FL}\)로 비례한다. 그러므로 두 삼각형 \(\rm ABE\), \(\rm FGL\)은 대응하는 각들의 크기가 같으며 [VI권 명제 6], 따라서 두 삼각형은 닮음이다. [VI권 명제 4, 정의 1] 그러므로 \(\rm\angle ABE=\angle FGL\)이다.
그런데 \(\rm\angle ABC\angle FGH\)이다. 왜냐하면 두 다각형이 닮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남은 각이 같다. 즉, \(\rm\angle EBC=\angle LGH\)이다.
두 삼가형 \(\rm ABC\), \(\rm FGL\)은 닮음이므로 \(\overline{\rm EB}:\overline{\rm BA}=\overline{\rm LG}:\overline{\rm GF}\)이다. 그리고 두 다각형이 닮음이므로 \(\overline{\rm AB}:\overline{\rm BC}=\overline{\rm FG}:\overline{\rm GH}\)이다. 그러므로 \(\overline{\rm EB}:\overline{\rm BC}=\overline{\rm LG}:\overline{\rm GH}\)이다. [V권 명제 22] 즉, \(\rm\angle EBC=\angle LGH\)인 두 각 \(\rm EBC\), 각 \(\rm LGH\)를 끼고 있는 변들의 길이 비율이 같다.
그러므로 삼각형 \(\rm EBC\), 삼각형 \(\rm LGH\)의 대응하는 각들의 크기가 같다. [VI권 명제 6]
그러므로 삼각형 \(\rm EBC\)와 삼각형 \(\rm LGH\)는 닮음이다. [VI권 명제 4, 정의 1]
같은 논리로, 삼각형 \(\rm ECD\)와 삼각형 \(\rm LHK\)도 닮음이다.
그러므로 두 다각형 \(\rm ABCDE\), \(\rm FGHKL\)을 같은 개수의 닮음 삼각형으로 나누었다.
이제 나누어진 삼각형들의 넓이의 비율이 같음을 보이자. 즉, 바꾸어 말하면 다각형 ABCDE을 삼각형 \(\rm ABE\), 삼각형 \(\rm EBC\), 삼각형 \(\rm ECD\) 세 개로 나누었고, 다각형 \(\rm FGHKL\)는 삼각형 \(\rm FGL\), 삼각형 \(\rm LGH\), 삼각형 \(\rm LHK\) 세 개로 나누었다. (삼각형 \(\rm ABC\) 넓이)\(:\)(삼각형 \(\rm FGL\) 넓이)=(삼각형 \(\rm EBC\) 널비)\(:\)(삼각형 \(\rm LGH\) 넓이)\(=\)(삼각형 \(\rm ECD\) 넓이)\(:\)(삼각형 \(\rm LHK\) 넓이)\(=\)(다각형 \(\rm ABCDE\) 넓이)\(:\)(다각형 \(\rm FGHKL\) 넓이)\(=\overline{\rm AB}^2:\overline{\rm FG}^2\)임을 보이자.
선분 \(\rm AC\), \(\rm FH\)를 그리자.
두 다각형이 닮음이므로 \(\rm\angle ABC=\angle FGH\)이며, \(\overline{\rm AB}:\overline{\rm BC}=\overline{\rm FG}:\overline{\rm GH}\)이어서 삼각형 \(\rm ABC\)와 삼각형 \(\rm FGJH\)의 대응하는 각들의 크기가 같다. [VI권 명제 6] 그러므로 \(\rm \angle BAC=\angle GFH\)이고 \(\rm\angle BCA=\angle GHF\)이다
그리고 \(\rm\angle BAM=\angle GFN\)이고, \(\rm\angle ABM=\angle FGN\)이므로 나머지 각 \(\rm AMB\), 각 \(\rm FNG\)의 크기도 \(\rm\angle AMB=\angle FNG\)이다. [I권 명제 32] 그러므로 두 삼각형 \(\rm ABM\)과 삼각형 \(\rm FGN\)의 대응하는 각들의 크기가 같다.
같은 논리로 두 삼각형 \(\rm BMC\)와 \(\rm GNH\)의 대응하는 각들의 크기가 같다.
그러므로 \(\overline{\rm AM}:\overline{\rm MB}=\overline{\rm FN}:\overline{\rm NG}\)이며, \(\overline{\rm BM}:\overline{\rm MC}=\overline{\rm GN}:\overline{\rm NH}\)이므로 \(\overline{\rm AM}:\overline{\rm MC}=\overline{\rm FN}:\overline{\rm NH}\)이다.
그런데 \(\overline{\rm AM}:\overline{\rm MC}=\)(삼각형 \(\rm ABM\) 넓이)\(:\)(삼각형 \(\rm MBC\) 넓이)\(=\)(삼각형 \(\rm AME\) 넓이)\(:\)(삼각형 \(\rm EMC\) 넓이)이다. 왜냐하면 넓이의 비율은 밑변의 길이의 비율과 같기 때문이다. [VI권 명제 1]
그러므로 한 전자와 한 후자의 비율은 전자들을 더한 것과 후자들을 더한 것과의 비율과 같다. [V권 명제 12] 그러므로 (삼각형 \(\rm AMB\) 넓이)\(:\)(삼각형 \(\rm BMC\) 넓이)\(=\)(삼각형 \(\rm ABM\) 넓이)\(+\)(삼각형 \(\rm AME\) 넓이))\(:\)((삼각형 \(\rm MBC\) 넓이)\(+\)(삼각형 \(\rm EMC\) 넓이))\(=\)(삼각형 \(\rm ABE\) 넓이)\(:\)(삼각형 \(\rm CBE\) 넓이)이다.
그런데 (삼각형 \(\rm AMB\) 넓이)\(:\)(삼각형 \(\rm BMC\) 넓이)\(=\overline{\rm AM}:\overline{\rm MC}\)이다 그러므로 \(\overline{\rm AM}:\overline{\rm MC}=\)(삼각형 \(\rm ABE\) 넓이)\(:\)(삼각형 \(\rm EBC\) 넓이)이다. [V권 명제 11]
같은 이유로 \(\overline{\rm FN}:\overline{\rm NH}=\)(삼가형 \(\rm FGL\) 넓이)\(:\)(삼각형 \(\rm GLH\) 넓이)이다.
\(\overline{\rm AM}:\overline{\rm MC}=\overline{\rm FN}:\overline{\rm NH}\)이므로 (삼각형 \(\rm ABE\) 넓이)\(:\)(삼각형 \(\rm BEC\) 넓이)\(=\)(삼각형 \(\rm FGL\) 넓이)\(:\)(삼각형 \(\rm GLH\) 넓이)이다. 비례식을 바꾸면 (삼각형 \(\rm ABE\) 넓이)\(:\)(삼각형 \(\rm FGL\) 넓이)\(=\)(삼각형 \(\rm BEC\) 넓이)\(:\)(삼각형 \(\rm GLH\) 넓이)이다. [V권 명제 11, VI권 명제 16]
같은 방법으로 선분 \(\rm BD\), \(\rm GK\)를 그리면 (삼각형 \(\rm BEC\) 넓이)\(:\)(삼각형 \(\rm GLH\) 넓이)\(=\)(삼각형 \(\rm ECD\) 넓이)\(:\)(삼각형 \(\rm LHK\) 넓이)임을 증명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rm ABE\) 넓이)\(:\)(삼각형 \(\rm FGL\) 넓이)\(=\)(삼각형 \(\rm EBC\) 넓이)\(:\)(삼각형 \(\rm LGH\) 넓이)\(=\)(삼각형 \(\rm ECD\) 넓이)\(:\)(삼각형 \(\rm LHK\) 넓이)이다. 그러므로 한 전자와 후자의 비율은 전자들을 더한 것과 후자들을 더한 것과의 비율과 같다. [V권 명제 12] 그러므로 (삼각형 \(\rm ABE\) 넓이)\(:\)(삼각형 \(\rm FGL\) 넓이)=((삼각형 \(\rm ABE\) 넓이)\(+\)(삼각형 \(\rm EBC\) 넓이)\(+\)(삼각형 \(\rm ECD\) 넓이))\(:\)((삼각형 \(\rm FGL\) 넓이)\(+\)(삼각형 \(\rm LGH\) 넓이)\(+\)(삼각형 \(\rm LHK\) 넓이))\(=\)(다각형 \(\rm ABCDE\) 넓이)\(:\)(다각형 \(\rm FGHKL\) 넓이)이다.
그런데 두 삼각형 \(\rm ABE\)의 변 \(\rm AB\)의 삼각형 \(\rm FGL\)의 대응하는 변은 \(\rm FG\)이므로 (삼각형 \(\rm ABE\) 넓이)\(:\)(삼각형 \(\rm FGL\) 넓이)\(=\overline{\rm AB}^2:\overline{\rm FG}^2\)이다. 왜냐하면, 닮음 삼각형의 넓이의 비율은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제곱비율이기 때문이다. [VI권 명제 19]
그러므로 다각형 \(\rm ABCDE\)의 변 \(\rm AB\)의 다각형 \(\rm FGHKL\)의 대응하는 변이 \(\rm FG\)이므로 (다각형 \(\rm ABCDE\) 넓이)\(:\)(다각형 \(\rm FGHKL\) 넓이)\(=\overline{\rm AB}^2:\overline{\rm FG}^2\)이다. [V권 명제 6]
그러므로 닮음 다각형들은 닮음 삼각형들로 쪼갤 수 있으며, 그 삼각형들의 개수는 같으며, 삼각형들의 넓이 비율은 전체 도형의 넓이 비율과 같다. 따라서 다각형들의 넓이 비율은 대응하는 변들의 제곱의 비율이다.
Q.E.D.
사각형의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넓이 비율이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제곱 비율이다. 삼각형의 경우에도 이것이 성립한다. 또한 닮음 다각형들의 전체 넓이의 비율은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제곱 비율이다.
이 명제와 따름 명제는 [X권], [XII권] [XIII권]에서 가끔 사용된다.